[김대국의 나의 역사, 자서전을 쓰다] 7. 시작하라 오직 하나뿐인 나의 인생과 이야기
[김대국의 나의 역사, 자서전을 쓰다] 7. 시작하라 오직 하나뿐인 나의 인생과 이야기
  • 김대국
  • 승인 2019.11.06 1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이낸셜리뷰] 장 자크 루소의 ‘고백록’은 “최초의 자서전이라 일컬어지는 고전으로 구체성과 솔직함이 자서전의 생명이란 사실을 보여주는 책”이다.

글쓰기를 필사에서 시작하다.

누구나 글을 쓸 수 있다. 우리말 단어나 문장을 쓰지 못하는 이가 없건만 쓰고자 하면 왠지 부끄럽고 자신이 없어지는 막막해 진다. 글쓰기는 모험이다. 시작은 좌충우돌할지 모르겠지만 이 모험을 통해 경이로움을 맛보기 때문이다. 수많은 글쓰기 마법사들이 있고 강의와 훈련이 있지만 그저 미리 쓴 작가의 글을 따라 걸으면 된다. 신경숙 작가는 필사를 통해 고수가 되 ㄴ예다. 그는 산문집 ‘아름다운 그늘’에서 대학 1학년 여름방학을 필사로 보냈다 그 시작은 서정인의 ‘강’이었다.

“나는 ‘강’을 그대로 옮겨 써보고 싶은 충동으로 만년필에 잉크를 채웠다. 그리고 노트를 폈다. 한 자 한 자 옮겨 적기 시작했다. 그 다음에는 최인훈의 ‘웃음소리’ 김승옥의 ‘무진기행’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 .. (중략) 그냥 눈으로 읽을 때와 한 자 한 자 노트에 옮겨 적어 볼 때와 그 소설의 느낌이 달랐다. (중략) 나는 이 길을 가리라. 필사를 하는 동안의 황홀삼은 내가 살면서 무슨 일을 할 것인가를 각인시켜준 독특한 체험이었다.”

필사는 언어의 표현법과 문장의 구조, 글의 서술방식을 익히기 좋은 과제다. 필사는 지루하다 하지만 쓰는 것을 시작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아름다운 문장과 사랑에 빠지면 필사는 결코 힘든 일이 아니다.

글쓰기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일단 쓰면 쓸수록 뇌와 마음에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갈망과 확신을 마주하게 된다. 연애편지, 서평, 논문 일기 등 한 번도 써보지 않는 사람이 없듯이 글을 쓰면 심연에 있던 능력들이 환영의 손짓으로 달려오는 것을 경험할 것이다.

관찰력으로 생생하게 써라

화가가 그림을 잘 그리는 이유는 보통사람들보다 세밀하게 보기 때문이다. 화가 들라크루아는 “5층에서 떨어지는 사람이 바닥에 닿기 전까지 그를 그려내지 못하면 걸작을 남길 수 없다”고 말했다. 5층에서 떨어지기 전에 순식간에 특징을 보는 관찰력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쥐디트 페라뇽의 ‘나의 형 빈센트 반 고흐’ 자서전에 이런 말이 있다. “난 태양을 그릴 땐 사람들에게 태양이 무시무시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느끼게 해 주고 싶어. 밀밭을 그릴 땐 밀알 안에든 원소 하나하나가 영글어 터지는 순간을 사과를 그릴 땐 사과즙이 표피를 밀고 나오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고, 사과 씨들이 결실을 맺기 위해 바깥으로 나오려 몸부림치는 것을 느끼게 만들고 싶단 말이야”사물을 생생하게 보고 느낀 것을 고호가 알려준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21~180)는 ‘명상록’ 첫 문장에서 글의 목적을 알 수 있다 “나의 할아버지 베투스 덕분에 나는 순하고 착한 마음씨를 갖게 되었다.”

‘명상록’은 남에게 보이기 위한 글이 아니라 자신을 경계하고 삶을 교정함으로써 올바른 길을 걷기 위해 틈틈이 메모해 둔 비망록이다. 로마의 황제로서 더욱 더 자신을 엄격하게 점검하고 황제로서 책임져야 하는 법과 정의를 자신의 이성 속에서 드러내고 실천코자 한 것이다.

성 아우구스티누스(354~430)는 글쓰기의 대선배로 이렇게 털어놓았다.

“나는 나 자신이 알 수 없는 하나의 수수께끼였습니다.”(‘고백록’ 4권 4장)라고 털어 놓는 겸손을 느낀다.

그에게 주체는 ‘나’가 아니라 ‘신’이었다. 하지만 프랑스의 계몽사상가 루소는 평범한 시계공 아들로 태어나 이제 신이 아니라 인간을 앞세우기 시작했다. “나는 한 인간을 사실 그대로 털어놓고 세상 사람들 앞에 내보일 작정이다. 이 인간은 나 자신이다.”(루소 ‘고백록’)

같은 이름의 고백론이지만 아우구스티누스와 루소 사이에는 이렇게 건널 수 없는 강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자서전의 매력이기도 하다.

자서전은 인생을 정리해야 할 시점에 있는 노년층에게 한정된 과업이 아니다.

인생의 첫발을 내딛는 젊은이, 불혹의 나이에 접어든 사람, 새로운 삶의 접근을 통해 자신만의 디자인이 만드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필요한 작업인 것이다.

책을 낸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 있다.

“나의 역사를 마치면 인생이 쉬워진다. ”

“나의 역사를 쓴 이후에는 삶이 달리 보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