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우 특집] 올림픽을 기업에 접목한다면?...한국 종합 순위 ‘8위’
[리우 특집] 올림픽을 기업에 접목한다면?...한국 종합 순위 ‘8위’
  • 서성일 기자
  • 승인 2016.08.10 1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자, 철강 등 인기종목 편중 심화...신종목 발굴 필요
사진출처= 픽사베이

[파이낸셜리뷰=서성일 기자] 최근 리우올림픽으로 지구촌이 뜨겁게 달아 오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 세계 기업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상위 500대 기업을 선정하는 포춘 글로벌 500 순위가 최근 발표됐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리우 올림픽에 맞춰 포춘이 발표한 500대 기업과 업종 분류를 기준으로 올림픽 출전종목과 메달산정 방식을 적용해 우리나라 산업 경쟁력 수준을 분석해 눈길을 끌고 있다.

메달 기준 종합 순위 “8위”...규모면에서 아직 갈 길 멀어

전경련은 포춘 53개 종목(업종)에 올림픽 순위산정 방식을 적용한 결과 우리나라는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로 종합순위 8위를 했다.

삼성전자가 전자업종에서 금메달을 차지했고, 포스코(철강)와 현대중공업(산업장비)이 은메달을 기록했다.

종합 순위 1위는 미국으로 금메달 30개, 2위는 금메달 7개로 중국이 차지했으며, 일본(금1, 은3, 동1)과 영국(금1, 은1)이 각각 7위, 9위로 우리나라 앞뒤에 위치했다.

업종 내 매출 3위까지인 메달권 국가들의 출전기업 대비 메달획득 비율을 살펴보면, 미국, 독일, 네덜란드는 대표기업 절반이 메달을 받았고, 중국, 프랑스, 스위스 등은 약 3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출쳐= Fortune

반면 우리나라는 대표기업 15개 가운데 3개만 메달을 획득해 영국과 일본에 이어 낮은 메달 획득률을 기록했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진출한 9개 종목 가운데 메달권 밖 6개 업종 국가대표 기업들과 금메달 기업과의 규모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기준으로 작게는 2.9배에서 최고 18.7배까지 차이가 났으며, 평균적으로 7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료출처= Fortune

인기종목 편중 지속...신종목 발굴 필요

이번 리우 올림픽에 우리나라는 총 39개 종목 가운데 24개 종목에 204명의 국가대표 선수가 출전하고 있다. 전체 종목의 61.5% 수준이다.

반면, 포춘 글로벌 500에 포함된 우리나라 국가대표 기업의 출전 종목은 전체 53개 가운데 9개(17%)에 불과하고, 나머지 44개 업종에서는 국가대표 기업이 전무하다.

자료출처= Furtune

우리나라 기업이 포함된 분야는 전자, 자동차, 철강, 에너지, 정유, 전력, 기계, 생명보험, 유통 등 9개 업종이다.

미국의 경우 건설, 선박, 부동산, 무역 등 9개 업종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 출전했고, 중국은 제조업 외 은행, 제약, 식품,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인구가 8백만에 불과하지만 대표기업 수가 우리와 동일한 스위스는 11개 업종에 진출, 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 의약, 인력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경우 우리보다 적은 출전규모(13개)임에도 식품, 무역, 은행, 전자, 화학 등 12개 업종에 고루 진출해 있다.

세계 10강에 포함된 국가 중 우리나라는 캐나다에 이어 가장 낮은 종목 참여율을 기록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의 국가대표 기업 육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2000년 이후 국가대표 기업 3개 증가, 중국은 10개 → 103개 10배 증가

올해 우리나라 국가대표 기업은 15개로 출전규모면에서 스위스와 함께 공동 7위이지만, 오랜 기간 정체 중에 있다.

우리나라가 지난 2000년 12개에서 2016년 15개로 3개 증가한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10개에서 103개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미국도 지난 2010년 139개 이후 조금씩 감소추세를 보였지만, 올해는 헬스케어, 제약 등 미래 신산업 분야 기업들이 크게 성장함에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다. 일본의 경우 대표기업 수가 중국 등과의 경쟁에 밀리면서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

2016년 포춘 글로벌 500에 새롭게 포함된 32개 기업 중 미국과 중국 기업이 각각 13개, 9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두 나라 기업의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다.

중국은 우주항공, 기계, 전자부품 등 중국정부가 정책적으로 집중 육성하는 분야 내 기업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더불어 제조기업 외에도 온라인 물류를 담당하는 징동상청(JD.COM)이 새롭게 진입했고, 텐센트와 알리바바 등 당장 내년이라도 국가대표로 뽑힐 수 있는 기업들이 줄을 서있다.

미국 역시 헬스케어, 제약, 도·소매 등 신성장 동력 역할을 할 서비스업 기업들의 성장세가 눈에 띄었다.

전경련 추광호 산업본부장은 “글로벌 시장은 이미 국경의 개념이 사라진지 오래됐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은 여러 제약으로 인해 국내에서 성장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추 본부장은 “우리나라는 과거 올림픽에서 레슬링, 복싱, 역도 등에서만 메달을 땄지만, 최근에는 사격, 펜싱, 수영 등 여러 종목에서 메달을 따고 있다. 메달을 따기 전에 다양한 국가대표 선수들을 키우는 것이 우선인 만큼,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