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박현주 회장, 국회 특정 상임위에 접촉하는 이유는?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 국회 특정 상임위에 접촉하는 이유는?
  • 서성일 기자
  • 승인 2017.09.14 0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대형 IB 선정, 일감몰아주기 등 악재 겹쳐
출처=미래에셋대우

[파이낸셜리뷰=서성일 기자]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과 같은 그룹 최현만 수석부회장이 국회 내 특정 상임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을 접촉한 동향이 포착됐다.

박 회장은 웬만한 리스크에도 잘 움직이지 않는 대표적인 인물이라는 것이 금융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 같은 그가 최 수석부회장을 앞세워 국회 특정 상임위원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는 배경에 대해 정계는 물론 금융권까지 자못 궁금하다는 분위기다.

이에 대해 현재 정치권과 금융권 일각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은 크게 두 가지로 모아진다.

하나는 박 회장이 미래에셋대우를 통해 사실상 본인 일가의 회사인 미래에셋캐피탈에 일감몰아주기를 자행했다는 논란이 거듭 불거지고 있는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최근 금융감독원이 진행한 초대형 IB(투자은행) 지정 적격성 여부 심사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이러한 배경이 두 사람을 움직이는 동기로 충분하다는 관측이다.

14일 케이제이타임즈 보도에 따르면 박 회장과 최 수석부회장이 국회 내 특정 상임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과 접촉하고 있다.

이들은 최근 몇 달 동안 국회 내에서 국회의원 및 보좌진들에게 특정 사안에 대한 해명 또는 설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박 회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 전부터 오너 일가 회사로 알려진 계열사에 일감몰아주기를 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아 왔다.

미래에셋대우를 통해 자신의 일가가 92%의 지분을 갖고 있는 미래에셋캐피탈에 일감몰아주기를 자행하면서 배를 불렸다는 곱지 않은 시선이 그것이다.

특히, 미래에셋대우 신성장투자본부 일체를 미래에셋캐피탈 이름으로 투자하면서 일감몰아주기 논란을 지속시켰다.

또한 미래에셋캐피탈을 통해 단기 채권을 발행하고 자산을 늘리는 방법으로 미래에셋대우 지분가치를 지주사 전체 자산의 50% 아래로 유지해왔다는 점도 주목받고 있다.

그 이면에는 계열사 주식이 회사 자산의 50%를 넘을 시 지주사로 강제 전환돼 금융당국의 강한 규제가 따르는 여신전문금융업법이 버티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주사 경제전환 요건을 그때그때 피하는 것을 두고 편법이라는 비판이 거셌다. 실제 김상조 공정위원장은 박 회장의 행보에 “꼼수”라는 표현까지 서슴지 않았다.

또한 미래에셋그룹내 일감몰아주기의 정점에는 박 회장이 있다고 케이제이타임즈는 보도했다.

강원도 홍천에 위치한 27홀 규모의 골프장(블루마운틴CC)도 일감몰아주기 논란에 불을 지피고 있다. 이곳은 그린피만 34만원, 카트와 캐디비 등을 모두 합하면 1인 이용비용은 40만원 수준이다. 때문에 국내 최고 수준의 퍼블릭 골프장으로 알려져 있다.

미래에셋계열사 임직원들의 이용이 크게 늘면서 지난 2013년 73억원 수준이던 매출은 이듬해 176억원, 2015년 519억원, 2016년 1064억원을 기록할 정도로 급격히 성장했다.

그런데 이곳의 운영을 맡고 있는 곳은 미래에셋그룹의 비금융 계열사인 미래에셋컨설팅이다. 이 회사는 박 회장과 친인척 등 특수관계인의 지분이 90% 이상이다.

부동산 사모펀드 업체인 미래에셋컨설팅은 지난 2015년 광화문 포시즌스호텔과 블루마운틴CC의 운영권을 수의계약으로 따냈다.

이처럼 안정적인 자금줄을 확보한 덕에 해마다 큰 폭으로 매출이 성장하고 있는데 결론적으로 미래에셋그룹의 오너인 박 회장이 정점에 있는 형국이다.

한편, 최근 국내 대형 증권사들은 초대형 IB(투자은행) 선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미래에셋그룹도 마찬가지 모양새다.

현재 미래에셋대우를 비롯한 KB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5개 회사가‘초대형 IB 지정 및 단기 금융업 인가’ 선정에 뛰어들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8월 28일부터 9월 1일까지 이들 5개사의 현장 실사를 진행했고 빠르면 10월초쯤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초대형 IB로 선정되면 자기자본 200% 내에서 만기 1년 이내의 어음을 발행해 자금을 융통할 수 있다.

외환과 어음 부분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에셋대우는 이들 회사 가운데 자본 규모 7조1498억원로 가장 크다. 별도의 ‘추진단’을 꾸려 진행하는 초대형 프로젝트인 만큼 금감원의 행보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미래에셋대우는 고객의 투자일일재산(CMA) 특별이자를 고객에게 지급하지 않고 리베이트를 수취한 혐의로 올해 5월 기관경고를 받는 등 올해에만 6차례나 금융당국의 기관경고와 주의를 받았다.

때문에 미래에셋대우의 시장 지위나 경쟁력이 후한 점수를 받고 있지만 금융당국으로부터 각종 제재를 받은 이력은 분명 악재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분위기다.

뿐만 아니다. 정치권에서는 금융계 편법단속을 위해 미래에셋 이름을 딴 법안을 마련할 정도로 미래에셋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소위 “찍혔다”라는 표현도 등장한다.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국회 정무위)은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편드 모집에 있어 사모라는 꼼수, 공모규제의 회피 꼼수를 동원했다는 점이 확인됐는데 이것은 너무 큰 문제이며 비양심적이고 비법적인 행위”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 부분은 정치권의 불편한 시선을 대변하는 대목이다.

정치권 한 인사는 “현재 금융당국이 초대형 IB 인가를 위한 검토 절차에 들어간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초대형 투자회사에 맞는 도덕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일련의 사안에 직면해서인지 박 회장과 최 수석부회장의 모습이 국회 특정 상임위 소속 의원실에서 포착됐다.

좀처럼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잘 알려진 박 회장이나 또 다른 최고 임원인 최 부회장의 동향이 국회 내에서 포착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는 것이 정계와 금융권 일각의 분석이다.

국회 한 보좌진은 “최현만 부회장이 의원실에 직접 찾아 왔다”며 “동료 보좌진에 따르면 무엇인가 해명 또는 설명을 하려고 방문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귀띔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일감몰아주기와 초대형 IB 선정이라는 큰 사안을 목전에 두고 그동안 제기된 악재들이 있는데다 공정위에 대한 국정감사를 국회 정무위가 담당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박 회장의 국회 내 행보가 선뜻 이해가 간다”는 분석을 내놨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최현만 수석부회장에게 직접 확인한 부분은 아니지만 금융권 이슈가 있어 자문을 구하기 위해 찾아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다만 최 부회장에게 직접 확인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