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중 절반, “올해 신규채용 축소”
대기업 중 절반, “올해 신규채용 축소”
  • 이성민 기자
  • 승인 2016.09.21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출처= 픽사베이

[파이낸셜리뷰=이성민 기자] 대기업 2곳 가운데 1곳의 올해 신규채용 규모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국내외 경기가 어려워져 기업들의 신규채용 여력의 감소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가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새롭게 실시한 상생고용지원금 제도를 이용한 기업은 100곳 가운데 7곳에 불과했다.

상생고용지원금이란 임금체계 개편, 임금피크제 도입 등으로 채용 여력을 확보해 신규채용을 확대할 경우 청년 1인당 연 1080만원을 2년간 지원(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하는 제도다.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2016년 500대 기업 신규채용 계획’(210개사 응답)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신입과 경력을 포함한 신규채용 규모는 ‘작년보다 감소’(48.6%), ‘작년과 비슷’(40.0%), ‘작년보다 증가’(11.4%)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조사결과와 비교했을 때 ‘작년보다 증가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19.6%에서 올해 11.4%로 8.2%p 감소한 반면, ‘작년보다 감소한다’는 응답은 35.8%에서 48.6%로 12.8%p 증가했다.

신규채용을 축소하는 기업은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상황이 좋지 않아서’(52.0%)가 가장 많았고, ‘회사의 내부 상황이 어려워 신규채용 여력이 감소’(32.4%), ‘정년연장으로 퇴직자가 줄어 T/O가 부족해서’(9.8%)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대졸 신입채용 규모는 ‘작년과 비슷’(45.2%), ‘작년보다 감소’(44.3%), ‘작년보다 증가’(10.5%)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조사결과 대비 ‘작년보다 증가한다’는 응답은 19.2%에서 10.5%로 8.7%p 줄었고, ‘작년보다 감소한다’는 응답은 38.2%에서 44.3%로 6.1%p 늘었다.

상반기 대졸 신입사원 가운데 이공계 졸업생 비중은 48.7%로 지난해 동기(58.6%) 대비 비(非)이공계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상반기에 대졸 최종 합격자가 입사를 거절하거나 포기한 경우가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61.9%였다.

포기 이유는 ‘다른 기업에 중복 합격해서’(80.8%)가 가장 많았으며, ‘더 좋은 직장을 구하기 위해’(8.5%), ‘근무지역 및 직무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6.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임금피크제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이미 도입했다’(62.9%), ‘도입할 계획이 있다’(21.0%), ‘도입 계획이 없다’(16.1%) 순으로 응답했다.

임금피크제 도입 계획이 없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노조와의 합의가 어려움’(32.4%), ‘임금체계 개편 등으로 임금피크제가 불필요’(26.5%), ‘직무 전환 등 인사관리의 어려움으로’(17.6%), ‘장년 근로자의 조기퇴직을 방지하기 위해서’(5.9%) 등을 꼽았다.

아울러 임금피크제 도입 기업들의 임금피크제 적용 시작 나이는 평균 56.7세였다.

정부가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새롭게 실시한 상생고용지원금 제도를 이용했는지 여부는 ‘없다’(85.2%), ‘없으나 신청 절차 중에 있다’(8.6%), ‘있다’(6.2%) 순으로 조사됐다.

상생고용지원금을 받지 못한 이유는 ‘자격 요건·관리 절차가 복잡해 신청을 포기’(31.3%), ‘임금피크제 도입 또는 임금체계 개편을 실시하지 못해서’(27.4%), ‘지원금이 적어 신규채용을 늘리기 어려워서’(15.6%), ‘동 제도가 실시 중인 것을 몰라서’(14.0%) 등의 순이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 중국 경기 둔화, 우리나라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등으로 국내외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취업시장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송 본부장은 “정년을 연장한 기업은 임금피크제 도입 또는 임금체계 개편을 의무화하고, 정부는 상생고용지원금과 같은 청년고용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 청년일자리를 늘리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