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경제리뷰] 이자
[역사속 경제리뷰] 이자
  • 어기선 기자
  • 승인 2024.03.19 13: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파이낸셜리뷰=어기선 기자] 이자는 다른 사람의 돈과 상품을 이용한 대가로 주고받는 돈과 상품의 사용료이다. 특히 화폐에 붙는 이자를 금리라고 부른다.

이자의 역사는 상당히 오래됐다. 4대 문명 중 하나인 수메르 문명 쐐기판에 이자의 개념이 들어있다. 아마도 인간이 경제활동을 시작하면서 함께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함무라비 법전에는 “상인이 곡물을 빌려줄 때 곡물 1구르(18000L)에 대해 60카(7200L)의 이자를 받는다. 은을 빌려줄 때에는 은 1세켈에 대해 1/6세켈의 이자를 받는다”는 조항을 새겼다. 그것은 국가가 이자를 관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경에서도 형편이 어려운 동족을 도와줄 때는 이자를 받지 말라는 구절이 있다. 그것은 이자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자는 부정적으로 취급

인류 역사와 함께 이자가 발생했지만 전반적으로 이자를 좋은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았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돈은 상품의 교환 즉, 가치 척도의 역할이 있으니 그 역할을 벗어난 행위, 즉 이자를 주고받는 행위는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비슷한 논릴르 펼쳤다.

고대 로마의 경우 고리대금업이 공화정의 몰락을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로마 시민들이 해외 원정을 나가면 남은 가족들이 고리대금업자에게 돈을 빌리게 된다. 문제는 전사를 하거나 약탈이 실패할 경우 엄청난 이자 때문에 농지를 헐값에 넘기고 자영농이 몰락하게 된다.

이러다보니 무산층이 원로원을 적대하게 되면서 율리웃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등을 지지하면서 민중파가 승리를 하고 공화정이 해체되면서 로마제국이 성립됐다.

로마제국에서는 높은 이자를 받은 대금업은 귀족과 민중 양쪽에 혐오의 대상이었지만 여전히 로마에서 횡행했다.

중세기독교 국가에서도

중세 기독교에서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철학에 영향을 받아 상업적 대부업을 금기시했다. 이에 주로 유대인이 고리대금업을 하게 했다.

하지만 지중애 연안에 위치한 이탈리아 도시 중심으로 대부업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현대적 의미의 은행이 탄생하게 됐다. 그리고 17세기 금융업이 발달하면서 이자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사라졌다.

그러면서 이자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고리대금업자의 횡포’를 비판하게 됐다.

오늘날에도 이자 자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이 사라졌지만 높은 금리로 대출하는 제2금융권 혹은 사금융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