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혁의 시사 인문학 365일] 7월 22일 부족함
[김진혁의 시사 인문학 365일] 7월 22일 부족함
  • 김진혁
  • 승인 2019.07.22 09: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네 모습 그대로 미움 받는 것이

너 아닌 다른 모습으로 사랑 받는 것 보다 낫다

- 앙드레 지드 -

[파이낸셜리뷰]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이다. 플라톤이은 행복(에우다이모니아)의 조건으로

첫째, 먹고 입고 살기에 조금은 부족한 듯 재산.

둘째, 모든 사람이 칭찬하기엔 약간 부족한 외모.

셋째,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절반밖에는 인정받지 못하는 명예.

넷째, 남과 겨루었을 때 한 사람에게는 이기고 두 사람에게는 질 정도의 체력.

다섯째, 연설을 했을 때 듣는 사람의 절반 정도만 박수를 보내는 말솜씨.

이 다섯 가지의 공통점은 바로 "부족함"입니다.

기독교는 내세의 행복을 이야기하고 쾌락주의라고 비난받았던 에피크로스파는 욕망에 현혹되지 않는 아타락시아(ataraxia; 마음의 평정부동(平靜不動)의 상태)의 개인적인 태도를 귀결한다. 벤담의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반면 칸트는 전제 계몽군주가 국민의 행복을 이유로 한 개입을 정당화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그에 의하면 행복은 후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덕이나 법의 규정 근거가 될 수 없다.

행복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하나의 공통점은 모자람을 극복하고 자신의 만족에서 탄생한다. 배가 고파야 움직이는 것처럼 넉넉하면 게을러 지기 쉽다. 모자람이란 결코 없는 자의 자기위안(自己慰安)이 아니다. 축복(祝福)이다!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는 따뜻한 자본주의의 원조가 되며 스스로를 위해서 돈벌이를 하는 것이 아니라 신의 영광을 위해 벌며, 신이 내린 재능을 펼치기 위해 사업을 한다는 문화적 동기를 제시한 것이다.

프로테스탄트의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 사이에는 큰 친화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오늘의 역사: 오스트리아 생물학자 멘델 출생(1822-1884)

오스트리아의 성직자, 박물학자. 사제로서 빈 대학에서 공부했다. 중등학교의 교사를 지냈다. 수도원의 정원에서 완두의 교배실험을 하던 중 1865년에 유전의 모든 법칙을 명확하게 밝혔지만 당시의 학계로부터는 인정받지 못하였다.

멘델법칙은 어떤 특성 또는 형질의 유전에 있어서, 자손은 양친 형질의 중간이 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쪽 부모의 형질을 이어받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