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혁의 시사 인문학 365일] 2월 23일 꽃처럼 웃어라
[김진혁의 시사 인문학 365일] 2월 23일 꽃처럼 웃어라
  • 김진혁
  • 승인 2020.02.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쓸쓸한 마음으로 과거를 되돌아보지 말라 그것은 두 번 다시 오지 않으니까 빈틈없이 현재를 이용하라 그것을 할 사람은 곧 그대다

- 헨리 위즈워스 롱펠러 -

[파이낸셜리뷰] 19세기 최고의 시인 롱펠로에게는 두 명의 아내가 있었다. 첫 번째 부인은 오랜 투병생활을 하다가 외롭게 숨졌고 두 번째 부인은 부엌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이런 절망적 상황에서도 롱펠로의 시는 여전히 아름다웠다. 임종을 앞둔 롱펠로에게 한 기자가 물었다.

“숱한 역경과 고난을 겪으면서도 당신의 작품에는 진한 인생의 향기가 담겨 있습니다. 그 비결이 무엇입니까?”

롱펠로는 마당의 사과나무를 가리키며 말했다.

“저 나무가 나의 스승이었습니다. 저 나무는 매우 늙었습니다.

그러나 해마다 단맛을 내는 사과가 주렁주렁 열립니다.

그것은 늙은 나뭇가지에서 새순이 돋기 때문입니다.“

롱펠로에게 힘을 준 것은 긍정적인 생각이었다.

인생은 운명이 아니라 환경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오늘의 역사: 작곡가 조지 프리드릭 헨델(1685-1759) 태어남.

음악의 어머니로 불리며 어려서부터 음악을 좋아했고, 또 천재적인 재능이 보여 17세 때 할레 교회당의 오르간 주자가 됨. 그는 뇌졸중과 일부 마비, 실명 등의 고난을 당해도 결단코 음악을 포기하지 않았다. 헨델은 대표적 걸작인 오라토리오 ‘메시아’ 중 할렐루야 코러스가 합창될 때 '저편에 신의 영광이 나타났도다’를 외치며 ‘천지창조’를 쓰겠다는 결심을 했다. 1751년에 오라토리오 ‘예프타’를 작곡하고 있는 동안에 장님이 되었으며, 세상을 떠날 때 영국 국왕은 헨델이 음악에 남긴 공적을 기려서 그 유해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매장시켰다. 바흐와 헨델은 같은 시대의 독일 음악가이면서도 평생 동안 끝내 만날 기회가 없었다. 그러나 바흐는 헨델을 깊이 존경하였고, 헨델의 작품을 사모해서 아내와 함께 연주했다고 전해진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